본문 바로가기
유데미 부트캠프

유데미 스타터스 취업 부트캠프 2기 - 백엔드(java, 자바) 5주차 학습 일지

by 미소여우 2022. 11. 13.
728x90

어느덧 벌써 한 달이란 시간이 지나가며 광화문 라이프를 재밌게 보내고 있다. 이번에도 후기를 한 번 적어보자!

스프링 시큐리티 데이트

일단 기본적으로 로그인/회원가입 기능은 어떤 서비스건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렇기에 인증/인가라던가 CORS, CSRF같은 보안 관련 지식들도 많이 익혀야 된다 생각한다. 스프링에서는 필터의 개념을 도입해서, 로직을 순차적으로 처리하는게 아주 인상적이다. 올해 초에도 시큐리티 강의를 봤는데, 사실 너무 이해가 안 갔다. 무슨 인증 매니저, 프로바이더 또 그 프로바이더를 관리하는 매니저 뭐이리 관리자가 많은지.. 그래서 흘러봤는데 자바를 계속 공부하며 다시 봐보니 이전보다 이해가 많이 갔다! 이것이 성장했다는 증거겠지?

아무튼 일단 이론적인 부분은 다 봤고, 프로젝트에 열심히 적용해볼 일만 남았다. 내 목표는 우선 로그인/회원가입을 잘 만들고 OAuth로 점진적으로 넘어가보는 것이다. 그리고 DB를 잘 활용해서 ROLE도 실시간으로 변동할 수 있도록 잘 처리해 봐야겠다.

강의 추천은 이것이다. 최근에 OAuth 강의도 내주셨던데, 질러서 볼까 아주 고민이 된다 후후..

 

스프링 시큐리티 - Spring Boot 기반으로 개발하는 Spring Security - 인프런 | 강의

초급에서 중.고급에 이르기까지 스프링 시큐리티의 기본 개념부터 API 사용법과 내부 아키텍처를 학습하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전 프로젝트를 완성해 나감으로써 스프링 시큐리티의 인증과

www.inflearn.com

스터디는 어떻게 해야 잘 만들 수 있을까

처음 부트캠프에 들어왔을 때 각오했던거는 건전한 스터디를 만들어 같이 공부하며 성장하는 것이 목표였다. 그렇기에 주 월요일마다 발표 스터디를 통해 본인들의 발표력과 정리를 할 수 있는 시간을 가져보고 있다. 그리고 우리 조원 중 아직 DB와 SQL에 익숙치 않은 분들이 있어서 같이 연습하기로 하였다. 나는 IT 관련 공부 시 중요한 점은 동일한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어야 하는게 중요하다 본다. 그래서 이 부분을 해결하고 파서 고민을 하여 Docker를 도입했다. Dockerfile을 만들어 mariadb와 덤프 데이터들을 집어넣도록 설정했고, OS에 맞게 스크립트 파일들을 만들어 두었다. 진짜 윈도우용 스크립트에서 타임 걸어주는거 땜에 노가다를 많이 했는데 OS문젠지 컴퓨터 성능 문젠지 알 수는 없다. 아무튼 아래와 같이 환경을 만들었고, sql 문제들을 제공할 것이다. 일단은 쉬운 조회부터 시작해서 점진적으로 높여보고자 한다. 

친구가 알려줬는데, 프로그래머스나 리트코드에도 SQL 문제들이 제공되고 있다 음..
둘 다 병행하는 것으로! ㅎㅎㅎ

 

처음에는 sql공부로 레포지토리를 팠는데, 좀 더 범용적으로 사용할까 해서 CS Study로 만들었다. 알고리즘이나 네트워크 같은 각종 자료를 넣어도 좋을거 같고, 발표 자료도 여기다가 올릴까 한다. 슬라이드쉐어에 올리고 블로그에 다시 올리는 것도 노가다 작업인거 같기도 하고.. 스터디 방식을 잘 만들고 싶은데, 남은 2개월 동안 스터디 방식을 계속 생각해보며 적용해 봐야겠다.

혹여나 블로그를 보시다 조언해줄게 있다면 부탁드립니다! :)

멘토님 첫 만남

드디어 이번주 금요일 멘토님을 실제로 만나 뵈었다. 멘토님은 우아한 형제 개발자 분이셨다! (운동도 하셔서 그런지 아주 듬직하시다!?)

이제 프로젝트 기간으로 전환되기에  화면 설계, 기능 설계 등 팀원들과 이것 저것 많이 상의하고 우리끼리 내용을 만들어 보았다. API 설계도 REST하게 만들려 노력은 했는데, 사실 우리가 아직 전문적으로 해본 것도 아니고 내 뇌피셜이 많이 가미됐다 보니 제대로 짠 것인지 항상 의문이었다. 위 의문과 함께 여러 질문을 좀 만들어 드렸다. 내가 물어본 것은 대략 이 정도이다.

  1. 내가 짠 API 이대로 진행해도 괜찮을지? - 괜찮다. 꼭 REST하게 짓겠다는 생각보다 의미가 전달되게끔 지어도 괜찮다. 좀 더 정확한 것은 나중에 팀의 컨벤션에 맞게 정하면 된다.
  2. 만약 URL을 POST - /posts/1/comments 로 만들었을 시, 해당 컨트롤러를 PostController와 CommentController 중 어디에 적용시키는게 좀 더 좋을지? - 만약 comments가 post에서만 쓰이는거면 post 도메인에 소속시키는게 좀 더 보기 좋을거 같다. 만약 범용적으로 쓰인다면 따로 빼서 만드는게 더 좋지 않을까 싶다.
  3. 웹소켓 VS Web RTC - 팀플을 2개나 하는 입장에서 기능 구현에 좀 더 초점을 두어라. 너무 어려운거를 해보았다 성공하지 못하면, 그 프로젝트는 사실상 의미가 없어지는 것이니

사실 여쭤볼게 더 많긴 한데, 시간 관계상 다음에 더 묻는 것으로 기약했다. 멘토님이 부탁하셨던 것으론 미팅이 있을 때 자신이 알려줬음 하는 주제를 잡아주는 것, 너무 막연한 질문은 하지 말기 등이 있었다. 이제 나도 슬랙을 적극 사용해서 열심히 이것저것 여쭤볼 것이다. 

다음주도 화이팅!!


* 유데미 바로가기 : https://bit.ly/3SFlXDy * 유데미 STARTERS 취업 부트캠프 공식 블로그 보러가기 : https://blog.naver.com/udemy-wjtb 본 후기는 유데미-웅진씽크빅 취업 부트캠프 2기 - 프론트엔드&백엔드 과정 학습 일지 리뷰로 작성되었습니다.

728x90

댓글